1. HACCP 이란
HACCP는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의 약자로『해썹』이라고 발음하며 『안전관리인증기준』으로 통칭하고 있습니다. HACCP 제도는 가축의 사육·도축·가공·포장·유통의 전과정에서 축산식품의 위생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해요소를 분석하고, 이러한 위해요소를 방지· 제거하거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계에 중요관리점을 설정하여 과학적· 체계적으로 중점관리하는 사전위해관리 기법입니다.
2. 생산자의 도입효과
1. 자주적 위생관리 체계의 구축
기존의 정부주도형 위생관리에서 벗어나 자율적으로 위생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의 확립이 가능합니다.
2.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의 제조
예상되는 위해요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위생적이고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 식품의 생산이 가능해 집니다.
3. 위생관리 집중화 및 효율성 도모
모든 단계를 광범위하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위해가 발생될 수 있는 단계를 사전에 집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위생관리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.
4. 경제적 이익도모
HACCP적용 초기에는 시설·설비 보완 및 집중적 관리를 위한 많은 인력과 소요 예산증대가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관리인원의 감축, 관리요소의 감소 등이 기대되며 제품불량율, 소비자불만, 반품·폐기량 등의 감소로 궁극적으로는 경제적인 이익의 도모가 가능해집니다. 수입 축산물에 대한 경쟁력 및 국내 측산물의 해외수출 여건을 확립할 수있습니다.
5. 회사의 이미지 제고와 신뢰성 향상
HACCP적용업소에서는 HACCP적용품목에 대한 HACCP심볼 부착과 이에 대한 광고가 가능하므로 소비자들에게 회사의 이미지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3. 인증 신청
1) HACCP 적용업소로 인증받고자 하는 자는 시행규칙에 따라 적용대상 식품별 위해요소중점관리계획서를 첨부하여 시행규칙의 HACCP 적용업소 인증신청서를 작성하여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.
2) 위해요소중점관리계획서란 다음 각 호의 자료를 말한다.
가. 중요관리점의 한계기준
나. 모니터링방법
다. 개선조치 및 검증방법
3)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제1항에 따라 제출한 서류가 기준에 미흡한 경우 일정기간을 정하여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.
4. 인증 절차
HACCP인증은 「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영업허가를 받거나 신고 또는 등록을 한 자 중 HACCP을 준수하여야 하는 영업자와 그 밖에 HACCP의 준수를 원하는 영업자를 대상으로 적용합니다. 범위가 광범위하고 업종마다 준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처음 시도하는 신청자는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고생할 수 있습니다.
인권 행정사와 함께 하시면 사업 동반자로서 도움을 드립니다.
서울시립대학교 법학 박사 과정
인권행정사 이효종 010 2284 9395
'행정청 인허가 > HACC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썹( HACCP)의 선행요건관리기준 및 인증신청 (0) | 2022.12.01 |
---|---|
식품의 해썹(HACCP) 선행요건 (0) | 2022.07.15 |
HACCP 인증 신청 절차 (0) | 2021.10.29 |
식품 HACCP 의무 적용 (0) | 2021.09.23 |
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(HACCP) (0) | 2021.09.04 |